이번 포스팅은 다음의 링크들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:
이전 Virtualenv 관련 포스팅과 다르게 이번 포스팅은 Windows 10 환경에서 사용법을 정리하였다. virtualenv
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Virtualenv 관련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.
가상환경 생성
가상환경의 디렉토리가 위치하기를 원하는 경로로 이동하여 다음의 명령을 수행하면 tutorial-venv
라는 이름의 가상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.
$ virtualenv tutorial-venv
현재 위치에 가상환경의 이름인 tutorial-venv
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될 것이다.
참고로 위의 명령어의 몇몇 중요한 옵션들은 다음과 같다.
-h
,--help
: 도움말 표시--system-site-packages
: 현재 생성하는 가상환경이 기존 파이썬의site-packages
디렉토리에 접근 가능할지 여부, 만약 이 옵션을 추가한다면 가상환경 상에서의pip
을 통한 설치가 기존 파이썬에도 똑같이 적용되게 됨--clear
: 현재 생성하는 가상환경과 같은 이름으로 가상환경이 이미 존재한다면 삭제하고 새로 만드는 옵션
가상환경 실행/해제
생성된 가상환경의 디렉토리 내부 경로를 통해서 다음의 명령을 통해 가상 환경이 실행될 수 있다.
$ .\tutorial-venv\Scripts\activate
위의 이미지와 같이 가상환경이 실행되면 커맨드라인 상에서 (TUTORI~1)
라는 식으로 현재 tutorial-venv
라는 이름의 가상환경이 실행되어 있다고 알려주게 된다.
또한 다음의 명령을 통해서 가상환경을 해제할 수 있다.
$ deactivate
가상환경에 패키지 설치
가상환경을 생성하면 패키지가 하나도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 아래의 명령을 통해서 현재 설치된 패키지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.
$ pip freeze
또한 이렇게 띄운 목록을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다.
$ pip freeze > temp.txt
위의 명령을 수행하면 패키지들의 목록이 모두 temp.txt
파일에 저장이 될 것이다. 물론 이 파일을 새로운 패키지 설치에 이용할 수도 있다.
$ pip install -r temp.txt
위 명령을 통해서 temp.txt
에 포함된 패키지들이 현재의 가상환경에 모두 설치가 될 것이다. 필자는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 파이썬 패키지들을 모두 가져와서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. 참고로 temp.txt
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.
absl-py==0.7.1
astor==0.8.0
astroid==2.2.5
attrs==19.1.0
...(생략)